서울시에서 상반기에 수소 승용차를 250대 보급한다고 밝혔습니다. 전기차 보급으로 서울 도심의 미세먼지와 온실가스를 줄이겠다는 취지인데요, 오늘(3월 8일)부터 지원가능한 수소 승용차 보급 지원사업의 지원방법 및 대상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신청개요
- 신청기간 : 2023년 3월 8일 (수) ~ 2023년 12월 8일 (금) 물량 소진 시까지
- 보급대수 : 총 250대 (일반 225대, 우선순위* 25대)
- 신청방법 : 자동차 구매자가 자동차 제조·판매자와 구매계약을 체결하고 2개월 이내 출고·등록이 가능할 경우 구매 지원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면, 제조·판매사는 구매 지원신청서를 포함한 증빙서류를 환경부 '무공해차 구매 보조금 지원시스템'에 온라인 신청
우선순위에 해당되는 대상은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상이유공자, 독립유공자, 다자녀, 생애최초 차량 구매자, 미세먼지 개선효과가 높은 차량 구매자 (택시, 경유차를 수소차로 대체 구매)입니다.
무공해차 구매보조금 지원시스템
www.ev.or.kr
보급차량
제작사 | 모델명 | 연료 | 1회 충전 주행거리 | 충전시간 | 차량가격 | 연료소비효율 (km/kg) |
현대 자동차(주) |
넥쏘 수소전기차 |
수소 | 609km (1회 충전량 6kg) |
5분 | 약 7,000만원 | 96.2 (17") 93.7 (19") * ()안의 수치는 타이어구경 |
보조금 지원기준
- 보조금 지원제한 : (개인) 1인당 1대 / (사업자·법인·단체 등) 1개 업체당 20대
- 보조금 지원금액 : 3,250만원 / 대 (차량의 반값 가량 금액)
수소차를 구매하면 보조금 이외에도 개별소비세 400만원 / 지방교육세 120만원 / 취득세 140만원 등 최대 660만원의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자격 및 대상
신청 공통자격으로 구매 지원신청서 접수일 기준으로 연속하여 서울시에 30일 이상 거주하거나 서울시에 30일 이상 주사무소로 사업자 등록을 한 경우 신청이 가능합니다.
- 개인 : 서울시에 주소를 둔 만 18세 이상 시만
- 개인사업자 : 대표자 (만 18세 이상)의 주소지가 서울인 사업자
- 법인 : 서울시에 주소를 둔 사업장이 위치한 법인 및 기업, 단체
- 외국인 : 서울시에 거주하는 재외국인, 국내영주권자 (F5비자) 등 국내 체류 기간이 2년 이상 남아있는 자로 만 18세 이상
- 공공기관 : 서울시 소재 공공기관
수소전기자동차 제작, 수입사가 자사차량을 구매하거나, 연구기관이 시험 및 연구 목적으로 구매하거나, 동일 개인이 2년 의무운행기간 이내 2대 이상의 수소전기자동차를 구매할 시 보조금이 미지원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단, 교통사고나 천재지변 등 불가피한 사유로 폐차할 경우 2년이 경과하지 않더라도 보조금 지원 가능
지원 과정
구매자는 차량구매대금과 보조금의 차액을 전기차동차 제작·수입사에 납부, 자동차 제조·판매사는 서울시로부터 보조금을 수령하면 됩니다. 자세한 지원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매보조금 지원과정 | |
수소차 민간보급사업 공고 | 서울시 |
↓ | |
수소차 구매계약 | 구매자 → 제조·판매사(대리점) |
↓ | |
전기자동차 구매 지원신청서 제출 (2개월 내 차량출고 가능시) |
제조·판매사(대리점) → 서울시 |
↓ | |
보조금 지원 대상자 사전 검토 및 자격 부여 | 서울시 → 제조·판매사(대리점) |
↓ | |
차량출고 (10일내) 가능 통보 | 제조·판매사(대리점) → 서울시 |
↓ | |
보조금 지원 대상자 확정 통보 | 서울시 → 제조·판매사(대리점) |
↓ | |
차량 출고 및 등록 | 제조·판매사(대리점) → 구매자 |
↓ | |
수소차 구매보조금 신청 접수 (출고·등록 후 10일 이내) |
제조·판매사(대리점) → 서울시 |
↓ | |
보조금 지급 | 서울시 → 제조·판매사(대리점) |
서울시 수소차 보조금 지원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수소전기자동차를 구매 및 이용 시 다양한 지원제도가 있는데요, 약 660만원에 해당하는 구매 시 세금감면의 혜택과 고속도로 통행료, 공영주차장 할인, 남산 1·3호선 터널 혼잡통행료 면제 등 이용 시 요금 할인 혜택으로 경제적인 차량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거기에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등의 환경오염을 줄여줄 수 있는 친환경 자동차라는 것이 더 매력적으로 보이고 국가에서도 지원하는 것이라고 보입니다. 여러분도 이번 기회에 알려드린 지원사업을 잘 활용하셔서 지원금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사소한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서울 청년수당> 지원금 + 청년 프로그램 지원 한눈에 보기 (0) | 2023.03.08 |
---|---|
서울시 <내장형 동물등록 지원> 반려동물 등록비용 지원 한눈에 보기 (0) | 2023.03.07 |
댓글